맨위로가기

그리스와 덴마크의 왕자 안드레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와 덴마크의 왕자 안드레아스는 요르요스 1세의 아들로, 그리스 왕족이자 덴마크 왕자였다. 그는 군사 경력을 쌓았으며,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그리스-터키 전쟁에서 패배한 후 군사 쿠데타로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망명하여 프랑스에서 여생을 보냈다. 안드레아스는 여러 유럽 국가의 훈장을 받았으며, 아들 필리포스는 영국 왕실과 결혼하여 에든버러 공작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사람 - 오스만 그리스인
    오스만 그리스인은 오스만 제국 내에 거주하며 종교적,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한 그리스인 공동체로, 탄지마트 개혁과 청년 투르크당 집권 이후에도 탄압을 받았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을 중심으로 제국 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그리스 사람 - 그리스인
    그리스인은 기원전 2200년경 발칸 반도에 정착한 원그리스어 사용자에서 시작되어 고대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 로마와 비잔티움 제국, 오스만 제국을 거쳐 1821년 독립 전쟁 이후 현대 그리스 국가를 건설했으며, 언어, 문화, 종교적 전통을 중심으로 정체성을 형성하고 그리스, 키프로스 및 전 세계 디아스포라에 거주하는 사람들이다.
  • 그리스 육군의 장군 - 요안니스 메탁사스
    그리스의 장군이자 정치인이었던 요안니스 메탁사스는 1936년부터 1941년 사망할 때까지 그리스의 독재자로 통치하며 권위주의적인 정치를 펼쳤고, 이탈리아의 최후통첩을 거부하며 그리스-이탈리아 전쟁을 일으켰다.
  • 그리스 육군의 장군 -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는 "흑기병"이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그리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여러 전쟁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고, 쿠데타를 주도하여 국왕을 퇴위시키고 로잔 조약 체결에 기여했으며, 총리를 역임하고 전후에는 정당을 창당하여 경제 회복에 힘썼다.
  • 러시아계 그리스인 - 콘스탄티노스 2세
    콘스탄티노스 2세는 그리스 왕국의 마지막 국왕로, 재위 기간 중 정치적 혼란과 군사 쿠데타, 왕정 폐지를 겪었으며, 올림픽 요트 금메달리스트이기도 하다.
  • 러시아계 그리스인 -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는 러시아 제국의 외교관이자 그리스의 정치가로서, 그리스 독립 전쟁 후 그리스 제1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을 지냈으며, 국가 재건에 헌신했지만 암살당한 후에도 그리스에서 존경받고 있다.
그리스와 덴마크의 왕자 안드레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앙드레아스 왕자, 1910년경
이름앙드레아스
전체 이름(왕자)
출생일1882년 2월 2일
출생 장소타토이 궁전, 아테네, 그리스
사망일1944년 12월 3일
사망 장소호텔 메트로폴, 몬테카를로, 모나코
매장 장소타토이 궁전 왕실 묘지, 아테네
배우자바텐베르크 공녀 앨리스 (1903년 10월 6일 결혼)
자녀호엔로에-랑겐부르크 공녀 마르가리타
바덴 변경백부인 테오도라
헤센 대공세자비 체칠리에
하노버 공자비 소피아
에든버러 공작 필립
왕가글뤽스부르크 가문
아버지그리스의 게오르기오스 1세
어머니러시아의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군사 경력
소속 국가그리스 왕국
군대그리스 육군
복무 기간1901년–1909년
1912년–1917년
1920년–1922년
최종 계급소장
지휘V 군단
II 군단
참전 전투발칸 전쟁
그리스-튀르크 전쟁
사카리아 전투

2. 생애

1903년 10월 6일, 독일 다름슈타트에서 바텐베르크 공자 루이스(후의 초대 밀포드 헤이븐 후작 루이 마운트배튼)의 딸 앨리스와 결혼하여 1남 4녀를 두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때, 중립 정책을 추진한 형 콘스탄티노스 1세와 연합국이 지지하는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전 총리를 중심으로 하는 임시 혁명 정부의 대립으로 인해 내전이 발발했고, 국왕은 퇴위를 강요받았다. 안드레아스 왕자 자신도 다른 왕족들과 함께 스위스에서 몇 년간 망명 생활을 했다.

귀국 후 육군 소장으로 현역에 복귀해 1919년에 발발한 그리스-터키 전쟁에서 지휘를 맡았지만, 그리스는 패배했다. 안드레아스는 지휘관으로서 세브르 조약에서 얻은 영토를 잃은 책임을 지게 되었다. 1922년에 일어난 군사 쿠데타로 혁명 정부에게서 사형을 선고받았지만, 사촌인 영국 국왕 조지 5세가 보낸 칼립소호에 탑승하여 프랑스로 망명하여 여생의 대부분을 그곳에서 보냈다.

망명 후, 형 요르요스 왕자의 아내인 마리 보나파르트가 소유한 파리 교외 생클루의 별장에 머물렀다. 가정을 돌아보지 않고 애인을 만들고 계속 집을 비웠기에, 아내 앨리스는 신경쇠약을 앓아 1930년베를린요양소(정신병원)에 입원했고, 이후 부부관계가 소원해졌다.

네 명의 딸들은 독일의 귀족과 결혼했고, 아들 필리포스1928년영국으로 건너갔다. 이후 프랑스 남부 코트다쥐르로 옮겨 애인과 함께 작은 아파트나 호텔 방, 요트 위를 전전하는 생활을 계속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는 사실상 비시 프랑스 정권의 감시하에 있었다. 한편 아들 필리포스가 정권과 적대하는 영국 해군 장교가 된 후에는 아들을 포함한 가족의 누구와도 만날 수 없었다.

1944년, 모나코몬테카를로에 있는 호텔 메트로폴에서 심장 마비와 동맥경화증으로 숨졌다. 시신은 일단 니스에 있는 정교회 묘지에 안장되었으나, 1946년에 그리스 해군 순양함에 의해 그리스로 돌아가 아테네 근교에 있는 타토이 궁전의 왕실 묘지에 다시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요르요스 1세와 러시아의 올가 콘스탄티노브나의 넷째 아들로 아테네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에는 가정교사로부터 영어를 배웠으나, 부모와 대화를 할 때에는 그리스어만 사용했다. 그 외 덴마크어, 러시아어, 독일어, 프랑스어에도 능통했다. 후에 아테네의 사관학교에 입학했고, 근시라는 핸디캡을 안고 있으면서도 육군에 입대했다. 많은 왕족에게서 볼 수 있는 명예직이 아니라 다른 일반 군인과 마찬가지로 직무를 수행했으며, 발칸 전쟁에 참전했다.[2][3][4][5][7][8][37]

2. 2. 결혼과 가족

1903년 10월 6일 독일 다름슈타트에서 루이스 오브 배튼버그 (훗날 초대 밀포드헤이븐 후작 루이스 마운트배튼)의 딸 앨리스와 결혼하여 1남 4녀를 두었다.[9] 다음 날 두 차례의 종교 결혼식이 거행되었는데, 하나는 복음주의 교회에서 루터교 의식으로, 다른 하나는 마틸데높의 러시아 예배당에서 그리스 정교회 의식으로 진행되었다.[10]

안드레아스 왕자와 앨리스 공주 사이에는 5명의 자녀(1남 4녀)가 있었다.

이름출생사망배우자
마르가리타1905년1981년호엔로에-랑엔부르크 후작 고트프리트
테오도라1906년1969년막시밀리안 폰 바덴의 장남 베르톨트
체칠리에1911년1937년헤센 대공 에른스트 루트비히의 장남 게오르크 도나투스. 비행기 사고로 사망.
소피아1914년2001년헤센-카셀 공자 크리스토프와 결혼. 크리스토프 사후 하노버 왕자 게오르크 빌헬름과 재혼.
필리포스1921년2021년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의 남편(왕배). 필립 마운트배튼으로 개명. 에든버러 공.


2. 3. 군 경력 및 전쟁 참여

요르요스 1세와 러시아의 올가 콘스탄티노브나의 넷째 아들로 아테네에서 태어난 안드레아스는, 유년기에 가정교사로부터 영어를 배웠으나 부모와 대화를 할 때에는 그리스어만 사용했다. 그 외 덴마크어, 러시아어, 독일어, 프랑스어에도 능통했다. 아테네의 사관학교에 입학했고, 근시라는 핸디캡을 안고 있으면서도 육군에 입대했다. 많은 왕족에게서 볼 수 있는 명예직이 아니라 다른 일반 군인과 마찬가지로 직무를 해내며, 발칸 전쟁에 참전했고,[12] 야전 병원을 지휘하였다.[13]

1909년, 구디 쿠데타는 그리스의 정치적 상황을 쿠데타로 이끌었다. 아테네 정부가 크레타 의회의 지원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크레타 의회는 (명목상으로는 여전히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던) 크레타와 그리스 본토의 합병을 요구했다. 불만을 품은 장교들은 그리스 민족주의 군사 동맹을 결성하여 다른 개혁과 함께 왕족의 군대 퇴출을 요구했고, 이로 인해 안드레아스 왕자는 군대에서 사임하게 되었고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가 권력을 잡게 되었다.[11]

제1차 세계 대전 때, 중립 정책을 추진한 형 콘스탄티노스 1세와 연합국이 지지하는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전 총리를 중심으로 하는 임시 혁명 정부의 대립을 계기로 발발한 내전으로 국왕은 퇴위를 강요받았고, 안드레아스 왕자 자신도 다른 왕족들과 함께 스위스에서 몇 년간의 망명 생활을 하게 되었다.

귀국 후 육군 소장으로 현역에 복귀해 1919년에 발발한 그리스-터키 전쟁에서 지휘를 맡았지만, 결과는 그리스의 패배로 끝나고 안드레아스는 지휘관으로 세브르 조약에서 얻은 영토를 잃은 책임을 지게 된다. 또한 1922년에 일어난 군사 쿠데타로 혁명 정부에게서 사형을 선고받았지만, 사촌인 영국의 국왕 조지 5세가 보낸 칼립소호에 탑승하여 프랑스로 망명하여 여생의 대부분을 그곳에서 보내게 되었다.

2. 4. 망명과 죽음

제1차 세계 대전 때, 중립 정책을 추진한 형 콘스탄티노스 1세와 연합국이 지지하는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전 총리를 중심으로 하는 임시 혁명 정부의 대립을 계기로 발발한 내전으로 국왕은 퇴위를 강요받았고, 안드레아스 왕자 자신도 다른 왕족들과 함께 스위스에서 몇 년간 망명 생활을 하게 되었다.[18]

귀국 후 육군 소장으로 현역에 복귀해 1919년에 발발한 그리스-터키 전쟁에서 지휘를 맡았지만, 결과는 그리스의 패배로 끝나고 안드레아스는 지휘관으로 세브르 조약에서 얻은 영토를 잃은 책임을 지게 된다.[19] 1922년에 일어난 군사 쿠데타로 혁명 정부에게서 사형을 선고받았지만,[25] 사촌인 영국의 국왕 조지 5세가 보낸 칼립소호에 탑승하여 프랑스로 망명하여 여생의 대부분을 그곳에서 보내게 되었다.[26]

망명 후, 형 요르요스 왕자의 아내인 마리 보나파르트가 소유한 파리 교외 생클루의 별장에 머물곤 했다.[27] 가정을 돌아보지 않고 애인을 만들고 계속 집을 비워두곤 했기에, 아내 앨리스는 신경쇠약을 앓아 1930년베를린요양소(정신병원)에 입원한 이후로 부부관계가 소원해졌다.

네 명의 딸들은 독일의 귀족과 결혼했고, 아들 필리포스1928년에 영국으로 건너갔다. 이후 프랑스 남부 코트다쥐르로 옮겨 애인과 함께 작은 아파트나 호텔 방, 요트 위를 전전하는 생활을 계속했다.[30]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는 사실상 비시 프랑스 정권의 감시하에 있었고, 한편 아들 필리포스가 정권과 적대하는 영국 해군 장교가 된 후에는 아들을 포함한 가족의 누구와도 만날 수 없었다.

1944년, 모나코몬테카를로에 있는 호텔 메트로폴에서 심장 마비와 동맥경화증으로 숨졌다. 시신은 일단 니스에 있는 정교회 묘지에 안장되었으나, 1946년에 그리스 해군 순양함에 의해 그리스로 돌아가 아테네 근교에 있는 타토이 궁전의 왕실 묘지에 다시 안장되었다.[36]

3. 유산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4. 작위 및 훈장

국가훈장
그리스 왕국구세주 훈장 대십자장
덴마크[38]
독일 제국검은 독수리 훈장 기사[39]
헤센 대공국헤센 대공 황금사자 훈장 기사 (1903년 10월 7일)[40]
이탈리아 왕국최고 숭고한 수태 고지 훈장 기사 (1907년 4월 8일)[41]
모나코생 샤를 훈장 기사 대십자장 (1940년 3월 14일)[42]
노르웨이노르웨이 왕실 성 올라프 훈장 대십자장, 칼라 포함 (1908년 7월 3일)[43]
러시아 제국성 안드레 훈장 기사 (1903년)[39]
스페인 왕국왕립 숭고한 카를로스 3세 훈장 기사 대십자장, 칼라 포함 (1906년 5월 30일)[44]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로열 빅토리아 훈장 명예 기사 대십자장 (1902년 8월 22일) - 에드워드 7세의 대관식 때[45]


참조

[1] 서적 The Minor Asia Campaign, Angora Operation, volume 5, part one Army History Directorate, Greek Army General Staff
[2] 문서
[3] 문서
[4] 뉴스 The Times (London) 1922-12-04
[5] 문서
[6] 서적 Memoirs of Prince Christopher of Greece Hurst & Blackett 1938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뉴스 The Times (London) 1903-10-08
[11] 문서
[12] 문서
[13] 뉴스 The Times (London) 1913-03-19
[14] 문서
[15] 서적 The Titled Nobility of Europe Harrison and Sons
[16] 뉴스 The Times (London) 1917-11-23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간행물 Greek Army General Staff, History Directorate
[23] 문서
[24] 문서
[25] 뉴스 The Times (London) 1922-12-01
[26] 뉴스 The Times (London) 1922-12-05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뉴스 The Times (London) 1936-01-27
[33] 뉴스 The Times (London) 1936-05-20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Brandreth, p. 177; Heald, p. 76
[37] 서적 Prince Philip: The Turbulent Early Life of the Man Who Married Queen Elizabeth II Henry Holt 2011
[38] 서적 Statshaandbog for Kongeriget Danmark for Aaret 1943 https://dis-danmark.[...] J.H. Schultz A.-S. Universitetsbogtrykkeri 2019-09-16
[39] 간행물 Almanach de Gotha https://archive.org/[...] Justus Perthes 1922
[40] 간행물 Großherzoglich Hessische Ordensliste Staatsverlag
[41] 서적 Calendario generale del regno d'Italia https://books.google[...]
[42] 간행물 Journal de Monaco https://journaldemon[...]
[43] 간행물 Norges Statskalender 2021-09-17
[44] 서적 Guóa Oficial de España http://hemerotecadig[...] 1910
[45] 서적 The Knights of England https://archive.org/[...] 1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